분류 전체보기 726

여러가지 도구를 이용한 간단한 지수함수 그래프 그리기 (2)

지수함수 y = exp(1/x) 의 그래프 그리기 참고로 이 함수는 두 함수 f(x) = 1/x 과 g(x) = exp(x) 의 합성함수이다. * 윈도우 XP 에서 Mathematica 8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7 에서 Mathematica 8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Mac OS X Lion 에서 Maxima 5.25.0 을 이용하여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기 위한 명령 * 위의 명령으로 별도의 창에 그려진 지수 함수 y = exp(1/x) 의 그래프 * Mac OS X Lion 에서 Gnuplot 을 이용하여 지수함수 y = exp(1/x) 의 그래프 그리기: gnuplot> set term aqua gnuplot> set xzeroaxis linetype 0 li..

학습/수학 2011.09.08

여러가지 도구를 이용한 극곡선(curve in polar coordinates) 그리기 (1) / 나비 모양의 극곡선

나비 모양의 곡선을 그려주는 극빙정식(polar equation): r = exp(cos(t)) - 2*cos(4*t) + (sin(t/12))^5 [참고] 1. Fay, Temple H. (May 1989). "The Butterfly Curve". Amer. Math. Monthly 96 (5): 442–443. doi:10.2307/2325155. JSTOR 2325155. 2. SVG 로 만든 나비 곡선 * 윈도우 XP 에서 Mathematica 8 을 이용하여 그린 나비 모양의 곡선: * 윈도우 XP 에서 Maxima 5.25.0 을 이용하여 극곡선을 그리는 명령 ** 위의 명령으로 Maxima 가 별도의 창에 그려준 나비 모양의 곡선 * 윈도우 XP 에서 윈도우 용 Gnuplot 을 이용하여 ..

학습/수학 2011.09.05

여러가지 도구를 이용한 매개곡선(parametric curve) 그리기 (1)

데카르트의 엽선(folium) x^3 + y^3 = 3xy 의 매개방정식 표현은 x = 3t/(1 + t^3) y = 3t^2/(1 + t^3) where -infinity < t < -1, or -1 < t < infinity 이다. * 윈도우 XP 에서 Mathematica 8 을 이용하여 그린 데카르트의 엽선: * 윈도우 XP 에서 Maxima 5.25.0 을 이용하여 매개곡선을 그리는 명령 ** 위의 명령으로 Maxima 가 별도의 창에 그려준 매개곡선 *** plot2d 대신에 wxplot2d 를 사용하면 뱔도의 창을 열지 않고 같은 창에 그려준다. * 윈도우 XP 에서 윈도우 용 Gnuplot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용 Gnuplot 다운로드: http://www.tat..

학습/수학 2011.09.01

여러가지 도구를 이용한 음함수(implicit function)의 그래프 그리기 (1)

데카르트의 엽선(folium)이라고도 불리우는 음함수 x^3 + y^3 = 3xy 의 그래프 그리기 연습 * 윈도우 7 에서 Mathematica 8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Mac OS X Lion 에서 Maxima 5.25.0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7 에서 윈도우 용 Gnuplot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용 Gnuplot 다운로드: http://www.tatsuromatsuoka.com/gnuplot/Eng/winbin/ *) (* gp45-winbin.zip 이라고 적힌 곳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풀어서 gnuplot 이라는 폴더를 아무 곳이나 옮기거나 복사히면 그 곳이 윈도우 용 Gnuplot 의 설치 디렉토리이다. 윈도우 용 Gn..

학습/수학 2011.08.26

여러가지 도구를 이용한 간단한 지수함수 그래프 그리기 (1)

함수 y = x*x*exp(x) 의 그래프 그리기 연습 * 윈도우 XP 에서 Mathematica 8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7 에서 Mathematica 8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XP 에서 Maxima 5.25.0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XP 에서 윈도우 용 Gnuplot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용 Gnuplot 다운로드: http://www.tatsuromatsuoka.com/gnuplot/Eng/winbin/ *) (* gp45-winbin.zip 이라고 딘 곳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하고, 압축을 풀어서 gnuplot 이라는 폴더를 아무 곳이나 옮기거나 복사히면 그 곳이 윈도우 영 Gnuplot 의 설치 디렉퇴리이..

학습/수학 2011.08.26

pyglet 에 한글 사용하는 예제

* pyglet 을 이용하는 간단한 Python 소스 (소스파일명: testpyglet.py) import pyglet window = pyglet.window.Window() label = pyglet.text.Label('Hello, world', font_name='Times New Roman', font_size=36, x=window.width//2, y=window.height//2, anchor_x='center', anchor_y='center') @window.event def on_draw(): window.clear() label.draw() pyglet.app.run() 실행 결과: * pyglet 을 이용하여 한글을 출력하는 Python 소스 (소스파일명: testpyglet2.p..

Mac OS X Lion 에서 Ruby 1.9.2 설치하여 Tk GUI 사용하기

Mac OS X Lion 에서 Ruby 1.9.2 에서 Tk GUI 사용하려면 ActiveTcl 을 먼저 설치하는 것이 좋다. (만약 Ruby 1.9.2 가 설치되어 있다면 Tk 를 살치한 후 Ruby 를 재컴파일 & 재설치하면 된다.) 1. Mac OS X 용 ActiveTcl 8.5 다운로드 2. Mac OS X 용 Ruby 다운로드 * 또는 1.9 안정화 버젼: Ruby 1.9.2-p290(tar.bz2 | tar.gz | zip) (참고: http://www.ruby-lang.org/ko/downloads/) 3. ActiveTcl 8.5 설치하기 다운로드된 Active 8.5.10 의 mpkg 파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다음 창에서 ActiveTcl-8.5.pkg 의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면 설치된다..

여러가지 도구를 이용한 간단한 삼각함수 그래프 그리기 (2)

함수 y = sin(1/x) 의 그래프 그리기 연습 * 윈도우 7 에서 Mathematica 8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Mac OS X 에서 Maxima 5.25.0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Mac OS X Lion 에서 Gnuplot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gnuplot> plot [-2*pi:2*pi] [-1.5:1.5] sin(1/x) * Mac OS X Lion 에서 Grapher 를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7 의 Python 2.7 에 matplotlib 1.0.1 을 (모두 64비트 용으로) 설치하여 파이썬 소스로 그린 함수의 그래프: #!/usr/bin/env python from pylab import * import matplotli..

학습/수학 2011.08.25

여러가지 도구를 이용한 간단한 삼각함수 그래프 그리기 (1)

함수 y = sin(x * x) 의 그래프 그리기 연습 * 윈도우 7 에서 Mathematica 8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7 에서 Maxima 5.25.0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XP 에서 Cygwin-X 의 Gnuplot 을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Mac OS X Lion 에서 Grapher 이용하여 그린 함수의 그래프: * 윈도우 XP 의 Python 2.6 에 matplotlib 1.0.1 을 설치하여 파이썬 소스로 그린 함수의 그래프: #!/usr/bin/env python from pylab import *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x = arange(-2.0*pi, 2.0*pi, 0.01) plot(x, s..

학습/수학 2011.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