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Mathematica 2

Mathematica 언어로 역삼각함수, 역쌍곡선함수 값을 구하는 예제

역삼각함수란 삼각함수의 역함수를 의미하고, 역쌍곡선함수란 쌍곡선함수의 역함수를 의미한다. 수학에서 sin 함수의 역함수는 arcsin 으로 표기되는데, Mathematica 언어에서는 ArcSin 함수로 구현되어 있다. 또한 Mathematica 언어에는 쌍곡선함수 sinh 와 cosh 의 역함수로 각각 ArcSinh 와 ArcCosh 가 구현되어 있다. Mathematica Notebook 에서 다음 몇 줄만 입력하여 각 cell 마다 Shift + Enter 키를 눌러 실행하면 된다. SetPrecision 은 계산 과정과 출력에서 정확도의 유효수자 개수릉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x = -0.9 y = SetPrecision[ArcSin[x], 10] Sin[y] x = 1.1 u = SetPre..

Mathematica 언어의 동적 프로그래밍 기능의 이해 / 재귀호출

Python, Ruby, Groovy 등의 스크립팅 언어를 동적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부르는 이유는 함수를 변수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 변수를 부르둣이 함수를 부를 수 있기 때문이다 Ruby 언어와 Groovy 언어에서는 이를 클로저(closer)라고 부르고, Python 언어에서는 이를 람다 함수(lambda function) 이라고 부른다. Mathenatica 언어도 이러한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은 이 기능을 이용하여 피보나티 수열과 유클리드 호제법을 구현한 것이다. (참고. 유클리드 호제법을 구현한 gcd 함수는 Mathematica Developer에 올라와 있는 예제가 음의 정수에 대하여는 잘 못 처리하기 때문에 수정한 것이다.) * Mathematica 에서 Module 함수를 이용한 동적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