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항식 p(x) 를 1차 다항식 x - a 로 나눌 때의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조립제법을
Groovy 언어로 구현해 보았다. 조립제법은 일명 Horner의 방법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이는
x = a 에서 다항식 p(x)의 값 p(a)을 계산하는 가장 빠른 알고리즘이기도 하다.
p(x) = (x - a)q(x) + r
여기서 r은 나머지이며 r = p(a) 이다. 또 q(x)는 몫이다.
[참고]
* 온라인으로 조립제법 표 만들기 손으로 계산하는 조립제법 표
* 온라인으로 구하는 다항식의 도함수: 조립제법을 이용한 다항식의 도함수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roovy 언어로 구현해 보았다. 조립제법은 일명 Horner의 방법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이는
x = a 에서 다항식 p(x)의 값 p(a)을 계산하는 가장 빠른 알고리즘이기도 하다.
p(x) = (x - a)q(x) + r
여기서 r은 나머지이며 r = p(a) 이다. 또 q(x)는 몫이다.
[참고]
* 온라인으로 조립제법 표 만들기 손으로 계산하는 조립제법 표
* 온라인으로 구하는 다항식의 도함수: 조립제법을 이용한 다항식의 도함수
- /*
- * Filename: testSyntheticDivision.groovy
- *
- * Purpose: Find the quotient and remainder when some polynomial is
- * divided by a monic polynomial of the first degree.
- * 이 소스는 자바 소스 TestSyntheticMethod.java 와 내용이 거의 같은
- * 그루비 소스 TestSyntheticMethod.groovy 를 더욱 그루비 소스 코드 답게 수정한 것이다.
- *
- * Execute: groovy testSyntheticDivision.groovy -2 1 3 3 1
- *
- */
- // 사용법 표시
- def printUsage() {
- println("사용법: groovy testSyntheticDivision.groovy [수] [피제식의 계수들]")
- println("조립제법(synthetic method)에 의한 다항식 나눗셈 결과를 보여준다.")
- }
- // 부동소수점수의 표현이 .0 으로 끝나는 경우 이를 잘라낸다.
- String simplify(double v) {
- String t = "" + v
- if (t.endsWith(".0"))
- t = t[0..<(t.length() - 2)]
- return t
- }
- // 부동소수점수의 표현이 .0 으로 끝나는 경우 이를 잘라낸다.
- // 전체 문자열 표시 너비는 매개변수 width 로 전달받아 처리한다.
- String simplify(double v, int width) {
- String t = "" + v
- if (t.endsWith(".0"))
- t = t[0..<(t.length() - 2)]
- int len = t.length()
- if (len < width)
- t = " ".substring(0, width - len) + t
- return t;
- }
- // 다항식을 내림차순의 스트링 표현으로 반환
- String toPolyString(double[] c) {
- String t = ""
- def sc0 = simplify(c[0])
- if (c.length > 2) {
- if (sc0 == "1")
- t += "x^" + (c.length-1)
- else if (sc0 == "-1")
- t += "-x^" + (c.length-1)
- else
- t += sc0 + " x^" + (c.length-1)
- }
- else if (c.length == 2) {
- if (sc0 == "1")
- t += "x"
- else if (sc0 == "-1")
- t += "-x"
- else
- t += sc0 + " x"
- }
- else if (c.length == 1) {
- t += sc0
- }
- for (i in 1..< c.length) {
- def k = c.length - 1 - i
- def sc = simplify(c[i])
- if (k > 1) {
- if (c[i] > 0.0) {
- if (sc == "1")
- t += " + " + "x^" + k
- else
- t += " + " + sc + " x^" + k
- }
- else if (c[i] < 0.0) {
- if (sc == "-1")
- t += " - " + "x^" + k
- else
- t += " - " + simplify(Math.abs(c[i])) + " x^" + k
- }
- }
- else if (k == 1) {
- if (c[i] > 0.0) {
- if (sc == "1")
- t += " + " + "x"
- else
- t += " + " + sc + " x"
- }
- else if (c[i] < 0.0) {
- if (sc == "-1")
- t += " - " + "x"
- else
- t += " - " + simplify(Math.abs(c[i])) + " x"
- }
- }
- else if (k == 0) {
- if (c[i] > 0.0) {
- t += " + " + sc
- }
- else if (c[i] < 0.0)
- t += " - " + simplify(Math.abs(c[i]))
- }
- }
- return t
- }
- // 다항식 나눗셈 결과를
- // (피제식) = (제식)(몫) + (나마지)
- // 형태로 출력
- def printDivisionResult(double a, double[] c, double[] b) {
- print(" " + toPolyString(c))
- println()
- print(" = ( " + toPolyString( [1.0, -a] as double[] ) + " )")
- double[] tmp = new double[b.length - 1]
- for (i in 0..<tmp.length) {
- tmp[i] = b[i]
- }
- print("( " + toPolyString(tmp) + " )")
- double r = b[b.length - 1]
- if (r > 0.0)
- print(" + " + simplify(r))
- else if (r < 0.0)
- print(" - " + simplify(Math.abs(r)))
- println()
- }
- // 조립제법 계산표 출력 함수
- def printSyntheticTable(double a, double[] c, double[] s, double[] q) {
- print(" | ")
- print(simplify(c[0], 6))
- for (i in 1..< c.length) {
- print(" " + simplify(c[i], 6))
- }
- println()
- print(simplify(a, 6) + " | ")
- print(" ")
- print(simplify(s[1], 6))
- for (i in 2..< s.length) {
- print(" " + simplify(s[i], 6))
- }
- println()
- print(" |-")
- for (i in 0..< q.length) {
- print("--------")
- }
- println()
- print(" ")
- print(simplify(q[0], 6))
- for (i in 1..< q.length) {
- print(" " + simplify(q[i], 6))
- }
- println()
- }
- // 실행 시작 지점
- if (args.length < 3) {
- printUsage()
- System.exit(1);
- }
- double a = Double.parseDouble(args[0])
- double[] c = new double[args.length - 1]
- double[] s = new double[c.length]
- double[] b = new double[c.length]
- for (i in 0..<c.length) {
- c[i] = Double.parseDouble(args[i + 1])
- }
- s[0] = 0.0;
- b[0] = c[0];
- for (i in 1..<c.length) {
- s[i] = b[i-1]*a
- b[i] = c[i] + s[i]
- }
- print("몫의 계수는 ");
- for (i in 0..<(b.length - 2)) {
- print(simplify(b[i]) + ", " )
- }
- print(simplify(b[b.length - 2]))
- println(" 이고, 나머지는 " + simplify(b[b.length - 1]) + " 이다.")
- println()
- printSyntheticTable(a, c, s, b)
- println()
- printDivisionResult(a, c, b)
groovy 명령으로 아래와 같이 실행하여 보았다.
실행> groovy testSyntheticDivision.groovy 1 2 3 4 5
몫의 계수는 2, 5, 9 이고, 나머지는 14 이다.
| 2 3 4 5
1 | 2 5 9
|---------------------------------
2 5 9 14
2 x^3 + 3 x^2 + 4 x + 5
= ( x - 1 )( 2 x^2 + 5 x + 9 ) + 14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 Groo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금비율(golden ratio) 구하기 with Groovy (0) | 2008.03.24 |
---|---|
현재 시각 알아내기 for Groovy (0) | 2008.03.24 |
조립제법(Horner의 방법) 예제 (1) for Groovy (0) | 2008.03.14 |
80컬럼 컨솔에 19단표 출력하기 예제 (2) for Groovy (0) | 2008.03.03 |
80컬럼 컨솔에 19단표 출력하기 예제 (1) for Groovy (0) | 2008.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