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언어, Java 언어, Python 언어 등으로 프로그래밍할 때 부동소수점수(floating point number) 를 많이 사용한다. 보동 double 타입이라고 부르는 수치형 데이터인데, 이 데이터의 처리 가능 범위는 대략 ( -1.79769313486231E308 ~ 1.79769313486232E308 ) 정밀도 비트수 범위 유효숫자 개수(10진수) 단정밀도 32 bits ±1.18×10−38 to ±3.4×1038 약 7개 배정밀도 64 bits ±2.23×10–308 to ±1.80×10308 약 15개 이다. 그렇다면 1.0E-190 에 해당하는 부동소수점수는 0 이 아니며 이것의 제곱 1.0E-380 도 0이 아니다. 그런데 1.0E-380 을 컴퓨터 계산에서는 어떻게 처리될까? 아마..